문과생 네버랜드의 데이터 창고

3. 기댓값 본문

수리통계

3. 기댓값

K JI 2023. 5. 3. 12:15
  1. 기댓값?
    1) 각 사건이 벌어졌을때의 원하는 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이득과 그 건수들의 확률을 곱해 모두 더한 것
    2) 우리가 흔히 말하는 평균이 이 정의에 포함된다.

  2. 정의
    1) 연속형 확률변수의 경우 
    (1)  $\int_{-\infty }^{ \infty }{|x|}f{(x)}dx < \infty $ 일때 ${(즉, 발산하지 않고 수렴할 때)}$
    (2) 연속형 확률변수의 기댓값 $E{(X)}$는  $\int_{-\infty }^{\infty}{x}f{(x)}dx$로 구한다 

    2) 이산형 확률변수의 경우
    (1) $\sum _{-\infty }^{ \infty }{|x|}p{(x)} < \infty$ 일때${(즉, 발산하지 않고 수렴할 때)}$

    (2) 이산형 확률변수의 기댓값은 $\sum _{-\infty}^{\infty}{x}p{(x)}$로 구한다

  3. 기댓값의 변환
    1) $Y=g{(x)}$ 이고  $\int_{-\infty}^{\infty}{|g{(x)}|}f{(x)}dx < \infty$ 일때 기댓값 $E{(Y)}$는 $\int_{-\infty }^{\infty}{g{(x)}}f{(x)}dx$로 구한다
    2)  $ \sum _{-\infty }^{\infty}{\left|g{(x)} \right|}p{(x)} < \infty $ ${(즉 수렴)}$할때 기댓값 E(Y)는 $ \sum _{-\infty }^{\infty}{g{(y)}}p{(x)} $ 로 구한다

  4. 기댓값의 선형성
    1) 기댓값은 상수를 포함하는 선형 결합에 대하여 선형성을 가진다.
    2) 엄밀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.
    $g_{1}(X)$ 그리고 $g_{2}(X)$를 확률변수 X에 대한 함수꼴이라 하고, $g_{1}(X)$와 $g_{2}(X)$의 기댓값이 존재한다고 하자. 임의의 상수 $k_{1}, k_{2}$에 대하여
    $$E[k_{1}g_{1}(X) + k_{2}g_{2}(X)] = k_{1}E[g_{1}(X)] + k_{2}E[g_{2}(X)]$$ 는 성립한다.
  5. 예제
    $f{(x)}\left\{\begin{matrix}
     2(1-x) \quad 0<x<1 \\ 0 \quad else
    \end{matrix}\right.$ 일때

    1) $E{(x)} = \int_{0}^{1}{x\cdot 2(1-x)}dx=\int_{0}^{1}{(2x-2x^{2})}dx=\begin{bmatrix}
    x^{2}-\frac{2}{3}x^{3}
    \end{bmatrix}^{1}_{0}=\frac{1}{3}$

'수리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확률변수의 부등식  (0) 2023.05.04
4-1 적률을 이용한 평균과 분산  (0) 2023.05.04
4. 적률생성함수  (0) 2023.05.03
2. 변수 변환  (0) 2023.05.02
1. 확률변수  (0) 2023.05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