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과생 네버랜드의 데이터 창고

1. 확률변수 본문

수리통계

1. 확률변수

K JI 2023. 5. 2. 21:03
  • 확률 변수란?
    1. 표본의 공간을 e라고 정의할 때, 공간에 속하는 각 원소 c실수공간 에 나타나도록 사영(Projection)하는 함수
      1) 예를 들어, 동전 던지기라는 실험에 대한 표본공간 e에 대하여 '앞면 또는 뒷면', 혹은 '처음 앞면이 나타난 순서'라는 함수 관계를 정의할 경우, 이 함수를 '확률 변수'라고 할 수 있음
    2. 확률 변수는 다시 실수공간에 포함되는 실수값을 셀 수 있는 경우인 이산(Discrete) 확률변수와, 특정 구간에 속해있는 전체 실수로 표현 가능하여 명확하게 셀수는 없는 경우인 연속(Continuous) 확률변수로 구분 가능함

  • 확률 질량 함수(PMF) : 이산형(Discrete) 확률 변수에서 어떤 포인트의 확률 값을 나타내는 함수
    1) 각각의 포인트에 대하여 그 확률값을 표로서 정리할 수 있음
    2) 𝑝𝑥 𝑥 = 𝑝(𝑋 = 𝑥)

  • 확률밀도함수(PDF) : 연속형(Continous) 확률 변수에서 어떤 구간의 확률값을 나타내는 함수
    1) 구간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, 어떤 특정 점(Point)이 정확히 나타날 확률은 오히려 0임

  • 누적분포함수(CDF) : 이산형 / 연속형 확률변수의 확률적인 누적을 나타내는 함수
    1) 정의에 따라, 확률 밀도 함수를 적분 / 확률 질량 함수를 누적하면 누적분포함수가 도출됨

 

'수리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5. 확률변수의 부등식  (0) 2023.05.04
4-1 적률을 이용한 평균과 분산  (0) 2023.05.04
4. 적률생성함수  (0) 2023.05.03
3. 기댓값  (0) 2023.05.03
2. 변수 변환  (0) 2023.05.0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