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과생 네버랜드의 데이터 창고

18. 복소수와 복소평면 본문

미적분

18. 복소수와 복소평면

K JI 2023. 6. 8. 18:55
  1. 복소수란?

    1) 실수 + 허수로 구성된 수를 복소수라고 한다.

    ${(1)}$ 실수는 허수부가 0인 복소수라고 볼 수 있다.

    2) 복소수의 사칙 연산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    사칙연산 규칙 예시
    덧셈/뺄셈 실수부는 실수부끼리, 허수부는 허수부끼리 더하고 뺀다 $(3 + 2i) + (6 + 4i)\\
    = 9 + 6i$
    곱셈 $i^{2} = -1$ 임에 유의하며 푼다 $(3 + 2i)(6+4i) \\
    =18 + 12i + 8i + 8i^{2}\\
    = 10 + 20i$
    나눗셈 허수부의 부호가 반대로 바뀐 켤레복소수를 이용한다 $\frac{3+2i}{6+4i}\\
    = 3+2i \times \frac{1}{6+4i}\\
    = 3 + 2i \times \frac{1}{6+4i} \cdot \frac{6-4i}{6-4i}\\
    = 3 + 2i \ times \frac{6-4i}{52}
    = \frac{26}{40}$ 
  2. 복소 평면

    1) 실수부와 허수부의 계수를 좌표로 갖는 평면을 복소평면이라고 한다.

    복소평면의 예시. $3 + 4i$ 라는 복소수는 복소평면상에서 하나의 벡터가 되며, 그 길이와 방향(각도)를 구할 수 있다.

    ${(1)}$ 복소평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.
    -. 복소평면의 덧셈은 벡터의 덧셈과 같다.
    -. 복소평면에서도 극좌표 변환은 가능하다.
    -. (위에서 연결되어) 복소수의 제곱은 복소평면상에서 각을 두배로 만든다. ①$r(cos\theta + isin\theta)$ 에서
    $r(cos\theta + isin\theta)^{2} = cos^{2}\theta - sin^{2}\theta + 2isin\theta cos\theta$

    ②이 때, 삼각함수의 배각공식에 따라
    $ cos^{2}\theta + sin^{2}\theta = cos2\theta$
    $ 2isin\theta cos\theta = isin2\theta$

    ③두 항을 합쳐서 정리하면
    $r(cos\theta + isin\theta)^{2} = cos2\theta + isin2\theta$

    ④위와 같은 관계를 일반화하면 드무아브르 공식을 도출할 수 있다.
    $r(cos\theta + isin\theta)^{2} = cos(n\theta) + isin(n\theta)$

'미적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. 평면과 정사영  (0) 2023.06.12
19. 등비급수와 테일러 급수  (0) 2023.06.09
17. 극좌표와 극방정식  (0) 2023.06.05
16. 로그함수와 지수함수  (0) 2023.06.02
15. 미분방정식의 변수 분리법  (0) 2023.05.31